본문 바로가기
한국인 섭취기준

나트륨-한국인 1일 나트륨, 염소 섭취기준

by ViMilNutra 2021. 8. 4.

나트륨과 염소는 거의 대부분 염화나트륨(NaCl)의 형태로 섭취되며 체내에서 나트륨 이온과 염소 이온으로 흡수된다. 

흡수된 나트륨과 염소 이온은 삼투압 유지와 수분 평형에 관여하고, 산 염기의 균형을 조절한다.
또한, 신경자극 전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소장에서 탄수화물과 아미노산의 흡수를 돕는다.

 

인체가 섭취하는 나트륨과 염소 대부분은 음식에 들어있는 염화나트륨, 즉 소금을 통해 섭취하게 된다.
나트륨과 염소의 흡수와 배설은 내분비계와 중추신경계에 의해 조절되며 , 위와 소장에서 흡수가 이뤄 지는데, 약 98%가 소장에서 이온 형태로 흡수된다. 흡수된 나트륨은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양만 남기고 모두 배설된다.

 

나트륨의 농도는 혈청에서 140 mmol/L, 혈장에서 150 mmol/L, 세포내액에서 10 mmol/L, 세포간질액 에서 145 mmol/L 정도로 유지된다. 혈청 나트륨과 염소는 1.4:1 또는 1:0.7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나트륨의 농도가 변화하면 심방과 심장에 있는 구심성 수용체가 이를 감지하고 원심성 기전을 통해 신장에서 소변중 나트륨 배설이 조절되고, 염소는 알도스테론 작용으로 인해 신세뇨관에서 재흡수된다. 정상적인 콩팥은 하루 25,000 mmol의 나트륨을 거르는데, 걸러진 나트륨의 99%를 재흡수하고 나머지 1%만 소변으로 배설 한다.

 

나트륨은 세포 내부와 외부의 삼투압을 조절하여 체액량 유지와 수분 균형을 이루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나트륨 농도는 체내 삼투압 농도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으므로 생리적으로 엄격한 범위 내에서 갈증 기전과 삼투압 조절 호르몬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조절되고 있다.

 

또한, 나트륨은 신경 전도와 근육수축에 관여한다. 나트륨은 여러 전해질과 마찬가지로, 세포막 전위와 관련이 있어 신경과 근육조직에서 활동 전위를 생성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마지막으로 나트륨은 산-염기 균형을 이루는 데에 역할이 매우 크다. 나트륨은 체내의 많은 완충계를 구성하고 있으며, 신장에서는 나트륨과 칼륨, 수소이온과의 교환을 통해서 산-염기 균형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나트륨 조절이 잘되지 않으면 세 가지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체내 항상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세포외액의 나트륨 농도가 135 mmol/L 이하로 떨어진 경우를 저나트륨혈증이라 하고, 

나트륨 결핍은 체액 결핍으로 나타난다. 혈장량이 줄어들어 심박출량의 감소로 혈압이 저하되고, 교감신경계 활성화에 의해 피부와 근육의 혈관 수축이 발생하여 전신 혈관 저항을 증가시킨다. 

 

세포외액의 나트륨 농도가 145 mmol/L 이상 으로 올라간 경우를 고나트륨혈증이라고 한다. 나트륨 과잉은 세포외액의 증가를 유발하여 수분과 뇌 용적의 급격한 감소를 일으키는데, 증상은 비특이적이며 오심, 근무력증과 섬유속성연축, 기면과 혼수까지 이르는 정신 상태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나트륨과 염소의 장기적인 과잉섭취시 혈압 상승, 활성 산소 형성, 혈관 내피 손상, 혈관 섬유화, 사구체 손상, 레닌-앤지오텐신-알도스테론 축 영향 을 통해 뇌졸중, 심근경색, 심부전 등의 심장질환 및 신장 질환의 발병과 진행을 증가시킨다.

또한, 위암의 발생률을 증가시키고, 골다공증, 천식, 비만의 발병 증가와 함께 모든 원인의 사망률도 증가시킨다.

 

염소의 결핍은 식욕저하, 무기력, 알칼리혈증, 고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등을 유발한다.

#1. 한국인 나트륨, 염소 섭취기준 

성별 연령  나트륨(mg/일)  염소(mg/일)
 충분섭취량  만성질환
위험감소
섭취량
 충분섭취량  상한섭취량
영아 0-5(개월) 110   170  
6-11 370   560  
유아 1-2() 810 1,200 1,200  
3-5 1,000 1,600 1,600  
남자 6-8() 1,200 1,900 1,900  
9-11 1,500 2,300 2,300  
12-14 1,500 2,300 2,300  
15-18 1,500 2,300 2,300  
19-29 1,500 2,300 2,300  
30-49 1,500 2,300 2,300  
50-64 1,500 2,300 2,300  
65-74 1,300 2,100 2,100  
75이상 1,100 1,700 1,700  
여자 6-8() 1,200 1,900 1,900  
9-11 1,500 2,300 2,300  
12-14 1,500 2,300 2,300  
15-18 1,500 2,300 2,300  
19-29 1,500 2,300 2,300  
30-49 1,500 2,300 2,300  
50-64 1,500 2,300 2,300  
65-74 1,300 2,100 2,100  
75이상 1,100 1,700 1,700  
임신부 1,500 2,300 2,300  
수유부 1,500 2,300 2,300  

 

#2. 나트륨 고함량 식품(가식부,可食部 100g당 함량)

식품명(국문)  나트륨
(mg/100g
가리비, 관자, 삶아서 말린것 2,500
가리비, 말린것 2,300
간장, 개량, 산분해 5,476
간장, 개량, 양조 4,783
간장, 재래 6,128
갈치, 염장 2,056
겨자 페이스트 2,900
고추장, 개량 2,486
고추장, 재래 2,424
고추장아찌 2,026
국수, 중국국수, 말린것 2,700
굴 소스 4,608
굴젓, 어리굴젓, 염절임 2,374
김치, 고들빼기 2,231
까나리, 삶아서 말린것 2,800
까나리젓, 액젓, 염절임 8,783
꽁치, 염장 4,300
다시마, 말린것 3,100
다시마, 염장 10,854
대구, 소금에 절여 반건조 2,792
대구젓, 아가미젓, 염절임 7,439
대구젓, 염절임 2,562
대황, 말린것 2,900
데리야끼 소스 3,833
된장, 개량 4,991
된장, 개량, 찌개용 4,206
된장, 일식(미소) 4,616
된장, 재래 4,339
라면 스프 21,194
매실 절임, 염절임 8,700
메밀 냉면 육수, 인스턴트 5,935
멸치, 대멸치, 삶아서 말린것 2,180
멸치, 잔멸치, 삶아서 말린것 2,646
멸치, 중멸치, 삶아서 말린것 2,377
멸치젓, 액젓, 염절임 8,188
멸치젓, 염절임 11,826
명태젓, 명란젓, 양념, 염절임 2,232
미역, 말린것 7,535
미역, 염장, 데친것 13,000
미역, 줄기, 염장 후 탈염, 삶은것 3,100
미역국, 인스턴트, 말린것 6,516
백합, 조미통조림 2,100
베이컨, 구운것 2,193
북어국, 인스턴트, 말린것 4,832
새우, 꽃새우, 삶아서 말린것 3,500
새우, 젓새우, 조린것 2,700
새우젓, 대때기젓, 토굴, 염절임 8,155
새우젓, 동백하젓, 토굴, 염절임 9,173
새우젓, 염절임 8,003
새우젓, 오젓, 토굴, 염절임 8,634
새우젓, 육젓, 토굴, 염절임 8,791
새우젓, 젓새우젓, 염절임 6,200
새우젓, 추젓, 염절임 9,138
새우젓, 추젓, 토굴, 염절임 8,794
생강 피클, 초절임 2,800
성게젓, 알젓, 염절임 4,091
소금 33,597
소금, 가공염, 죽염 38,330
소금, 가공염, 퉁퉁마디(함초) 33,490
소금, 굵은소금 32,220
소금, 정제염 36,025
소금, 천일염 33,565
소금, 천일염, 가는소금 33,417
소금, 천일염, 굵은소금 34,205
소금, 천일염, 소금꽃 40,626
소금, 천일염, 토판염 38,659
소금, 프랑스, 소금꽃 36,693
소금, 프랑스, 토판염 39,612
송어젓, 염절임 4,049
스프, 소고기 스프, 가루 3,627
스프, 양송이 스프, 가루 1,976
스프, 양파 스프, 가루 8,031
스프, 크림 스프, 가루 3,032
쌈장 2,619
연어, 염장 2,300
오징어젓, 양념, 염절임 2,278
울외장아찌, 염절임 3,487
육포 2,180
율무 국수, 말린것 2,323
은어젓, 내장젓, 염절임 6,900
전복, 말린것 3,000
전복젓, 염절임 2,000
정어리, 소금에 절여 말린것 2,400
조개젓, 염절임 3,797
조미료, 멸치맛, 가루 14,404
조미료, 쇠고기맛, 가루 15,836
조미료, 액상 6,166
짜장 소스, 가루 5,251
청국장, 가루 2,487
청국장, 찌개용 3,083
청어, 훈제 3,900
춘장 3,399
칠리, 가루 2,500
카레, 가루 4,059
퉁퉁마디환(함초환) 7,935
팽창제, 베이킹파우더 7,893
해삼, 말린것 2,842
해삼, 염장 6,000
해삼젓, 내장젓, 염절임 4,100
황새치젓, 염절임 7,683


Reference
1)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2) 국가표준식품성분 Database 9.3

댓글